폭증하는 카카오톡 트래픽에 대처하는 방법

image.png

메시징 서버 종류

  • 메시지 전송
  • 접속하기위한 로그인 요청
  • 채팅방 진입
  • 메시지 동기화 등

image.png

낮 최대 62만 건

image.png

신년 인사 등 트래픽이 폭증하는 케이스가 간혹 존재

image.png

이를 대비하기 위한 두가지 시스템 구축

카톡의 백그라운드 로그인 방식

image.png

채팅방에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서버가 메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

근데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 중이지 않을경우

안드로이드 fcm을 통해 푸시를 전송하게됨

메세지가 오면 클라단에선 서버에 로그인 요청을 먼저하면서 TCP연결을 함

이경우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때 메세지를 바로 확인하고 전송이 가능한 상태가 됨

대표적인 장애 사례 : 2016년 경주 지진

지진으로 인해 카톡이 2시간 정도 장애 발생

image.png

전국민에게 알림문자가 발송되면서 휴대폰이 깨어나게됨 → 카톡 클라가 백그라운드 로그인을 수행하게됨

→ 전국민이 카톡 서버에 접속 시도

평상시케이스

  • 수동으로 카톡 켤때
  • 메세지 받거나
  • 문자 받거나

근데 이례적으로 로그인 요청이 많아지는 상황이 발생

image.png

이로 인해서 서버가 로그인 요청만을 처리하게되고 연결을 맺고 사용하던 케이스에서도 메세지를 보낼때 실패처리가 되면서 연결이 끊어짐 → 다시 로그인 시도

모든 요청이 로그인이 됨

image.png

19시 44분 지진 발생

놀란 사용자들이 메세지를 보냄 → 메세지 TPS가 급격하게 올라감 + 백그라운드 로그인 요청도 엄청 들어옴 → 처리시간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이후 TPS가 급격하게 낮아진걸로 봤을때, 서버가 로그인 처리만하느라 메시지 전송 처리를 못하게됨.

image.png

자연재해는 예측하는것이 불가능하기에, 자체적으로 트래픽 폭증을 인지하고 대응하는것이 필요.

이 중 아이디어로 활성화 된 스레드 수를 이용하여 부하레벨을 정함

image.png

이후의 변화

image.png

image.png

진짜 필요한 로그인만 처리하고 붙어있는 세션의 메시지 전송을 처리

17년 11월 15일 포항 지진

image.png

image.png

위의 초록색이 로그인 지표, 빨간 색은 백그라운드 로그인 지표

메세지가 오면서 백그라운드 로그인 지표가 급격하게 올라감 그러나 백그라운드 차단으로 인해 급격하게 내려감

그러고 이후로 메세지 TPS가 뛰었지만 문제없이 처리한것을 확인

image.png

피크시에 백그라운드 로그인 비율이 96프로까지 올라감 (서버가 로그인 처리만 하고있는 상황)

20년 1월 1일 신년 장애

image.png

새로 구축한 시스템에서 10ms걸리던게 자정되면서 600ms까지 걸려 장애발생 → 전체 서버 장애 발생 → 클라이언트 요청에 타임아웃 발생 → 클라연결을 끊음 (기존 붙어있던 세션이 50%가 날아감)

새해 인사로 인한 카카오톡 메세지가 몰리는데 이는 백그라운드 로그인이 아니기에 막을 방법이 없어 이전 대응 구축이 효과가 없었음

image.png

추가로 50%의 떨어져나간 사용자들도 다시 로그인 요청을 하면서 트래픽이 폭증하게 되고, 일부 서버는 메세지 전송이 불가해짐

그러면서 약 두시간 동안 장애 발생

로그인 트래픽의 무거운 요청이 그대로 유입되었기 때문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

스레드를 요청 별로 할당해서 아무리 많이 들어와도 한계가 있도록 너무 많은 요청이 와도 다른 처리는 할 수 있도록

image.png

매니저라는 객체가 존재

이 객체가 각 요청에 대해서 할당될 스레드 수를 정함

스레드가 특정 요청을 처리하고 있을때 각각의 스레드 count가 1씩 상승 이 스레드 카운트가 한계점에 도달시 오버플로우 발생으로 실패 처리

트래픽 폭증 사례 : 카타르 월드컵

가나 전때 조규성이 동점골을 넣었을때 트래픽이 가장 심했음

image.png

메세지 전송이 급증하였는데 위의 트래픽에 제한이 있었기에 다른 요청도 골고루 처리하여 문제가 없었음

image.png

image.png

일부 메세지 전송이 실패했으나 전체 서비스 장애로 이루어지지는 않게 방지

image.png

Posted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