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의 발전
민주주의의 발전
한능검 고급 39강
제헌 헌법(48)
- 대통령(4년) : 간선제(국회의원(2년))
- 농지개혁
- 친일파 처리
⇒ 이승만 정부(자유당) | 제1공화국 |
6.25 발발 (50)
50년 총선 : 이승만 지지의원 대거 낙선
1차 개헌(발췌 개헌 52)
- 대통령 : 직선제 <- 사건 : 부산정치파동
대선(52) 이승만 재당선
6.25종료(53)
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 54)
- 대통령 :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제한 해제
- 국회의원 2/3 정족수 이상의 찬성을 받아야 통과 될 수 있음
- 국회의원수 203명 / 135.333 이상의 찬성
- 찬성 135명으로 사사오입을 주장하여 통과
대선(56) 이승만 vs 신익희(민주당) 후보 ← (대선 도중 사망), 이후 무소속 조봉암이 떠오름
이승만 당선
공안정국 형성
- 신국가 보안법 제정(2·4 보안법 파동 59)
- 진보당 사건 : 조봉암 사형 (사법살인 59)
- 경향신문 폐간(59)
대선(60) 이승만 vs 조병옥 (미국 수술 도 중 사망) ⇒
이승만 자동 당선
그러나 부통령 자유당 당선을 위해 3.15 부정선거 발생
→ 4.19 혁명 ( ← 발발원인: 마산 3.15서거, 김주열 최루탄 피격 사망)
⇒ 이승만 하야 → 허정 과도 내각에 의한 개헌
3차 개헌
- 의원 내각제
- 양원제
- 민의원, 참의원 (상원, 하원 느낌)
장면 내각 | 제2공화국 |
- 집권 여당 : 민주당
- 혁신계 중립 통일
- 경제개발 5개년
4차 개헌
- 소급입법(3.15 부정선거 처벌위함)
5.16 군사정변 (61) → 국회 해산, 국가정변 최고회의 설립 (입법, 행정, 사법 장악)
국가정변 최고회의의 개헌
5차 개헌
- 대통령 : 직선제
- 단원제
박정희(공화당)/(63) | 제3공화국 |
- 베트남 파병
- 한일 수교(65)
6.3 시위(64)
- 한일 수교 반대
-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
대선(67) : 박정희 재선
6차 개헌(69)
- 3선 개헌안
-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분위기
- 청화대 습격
- 푸에블로호
- 울진 공비
닉슨 독트린 : 냉전 완화
⇒ 7.4 남북 공동 성명(72)
대선(71) : 박정희(민주공화당) 재선
7차 개헌 (유신헌법) (72)
대통령 : 간선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정(6년/사실상 종신)
- 국회 해산권, 국회의원 1/3임명가능(유신정우회), 긴급 조치권
박정희(72) | 제 4공화국 |
반대 운동
- 언론자유수호 운동
- 민청학련 ← 인혁당 사건
- 3.1구국 선언
- YH 무역사건
- 김영삼 제명
- 부마항쟁
이후
- 10.25 사태 : 박정희 사망
- 12.12 사태 (전두환) → 신군부 등장
- → 5.18 운동(시민군 등장)
국보위 (전두환)
8차 개헌(80)
- 대통령 간선제 : 대통령 선거인단
- 7년 단임
전두환 정부(민정당) | 제5 공화국 |
- 통금해제, 해외여행 가능, 교복자율화, 과외/학원 X
이후
- 4.13 호헌 조치(87)
-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 6월 항쟁
9차 개헌
- 6.29 선언
- 5년 단임
- 대통령 직선제
이후 제 6공화국
- 노태우
- 김영삼 : 역사바로세우기
- 김대중 : 햇볕 정책
경제발전과 통일정책
이승만
- 농지개혁(by 제헌헌법)
- 유상매입
- 3정보이상
- 지가증권
- 유상분배
- 가격 측정 : 1년 생산량 150%
- 5년 분할 상환
자본체계 성장 틀 완성
- 귀속재산 처리 → 공장
- 원조경제 : 미국의 잉여 농산물 원조(무상)
- 명화, 설탕, 밀가루 : 3백 산업 발달
- ⇒ 추후 유상 차관으로 변경(58) 경제에 악영향
- → 4.19(60) 혁명 원인 중 하나
박정희
1, 2차 경제 개발 5개년 (62~71)
- 경공업 위주
- 저임금, 저곡가 → 정부주도 수출
- 자금확보
- 베트남 파병, 한일 수교, 파독 노동자(광부, 간호사)
경부고속국도 새마을 운동 저임금으로 인한 전태일 분신 사건 (근로기준법)
3,4차 경제개발 5개년(71~81)
- 중화학 공업(포항, 제철)
- 수출 100억불
- 오일 쇼크(73, 78)
- 73년 때는 아예 오일달러를 벌어올 정도로 대처했으나 2차때는 휘청거림
전두환
- 3저호황(86~88)
- 저금리
- 저달러
- 저유가
-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노태우 X
김영삼
- 금융실명제
- OECD 가입
-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타결
- IMF사태(외화부족, 97)
김대중
- 신자유주의 (경쟁, 효율 상승)
- 금모으기 운동, 노사정 위원회 → IMF 해결